본문 바로가기
어휘 단어 뜻

읍참마속 뜻, 유래

by zn3476 2025. 8. 11.
반응형

읍참마속 뜻, 유래

수많은 사자성어들 중에는 삼국지에서 유래된 단어들이 제법 많습니다. ‘읍참마속(泣斬馬謖)이라는 사자성어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읍참마속 뜻

읍참마속 뜻

이 읍참마속이라는 표현은 주로 공정한 법 집행이나 조직 운영의 원칙을 강조할 때 사용되며, 특히 감정적 유대가 깊은 사람을 법에 따라 벌해야 하는 상황을 비유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

읍참마속 뜻은 직역하면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베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읍(泣)’은 울다, ‘참(斬)’은 참수하다, ‘마속(馬謖)’은 중국 삼국시대 촉(蜀)나라의 장수 이름을 뜻합니다.

즉, 사사로운 정을 버리고 법과 원칙을 지키기 위해 가까운 사람이라도 엄히 처벌하는 결단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읍참마속 유래

배경 – 삼국지 속 촉나라와 제갈량

읍참마속의 이야기는 중국 고전 역사서 삼국지에 기록된 사건에서 비롯됩니다. 주인공은 촉나라의 재상 제갈량(諸葛亮)과 장수 마속(馬謖)입니다.

읍참마속 유래

마속은 학문과 이론에 밝고, 군사 전략에도 조예가 깊었지만, 실제 전장 경험이 부족한 인물이었습니다. 제갈량은 그의 총명함을 높이 사서 중용했고, 심지어 중요한 전투에서 지휘를 맡기게 됩니다.


사건의 전개 – 가정(街亭) 전투

기원후 228년, 제갈량은 촉나라의 북벌(北伐)을 시작합니다. 전략 요충지인 가정(街亭) 방어 임무를 마속에게 맡기며, 반드시 산 아래 평지에서 적을 맞서 싸우라고 명령했습니다. 이는 보급로 확보와 퇴로 유지에 필수적인 지시였습니다.

그러나 마속은 제갈량의 지시를 무시하고 산 위에 진지를 구축했습니다. 그는 고지에서 적을 내려다보면 유리하리라 판단했지만, 이는 전술적 치명타를 안기는 선택이었습니다. 위나라 장수 장합(張郃)은 마속의 병참선을 끊고 물을 차단하여, 마속의 군대는 식수와 보급품을 잃고 무너져 버렸습니다. 이 패배로 촉의 북벌 계획은 큰 차질을 빚게 됩니다.


제갈량의 결단

패전 이후, 제갈량은 마속을 아꼈음에도 불구하고 군율을 지켜야 한다는 이유로 사형에 처할 것을 결정합니다. 주변에서는 재능 있는 인재를 살려두자고 간청했지만, 그는 “법은 사사로운 정을 넘어야 나라가 바로 선다”라며 결심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마속의 처형은 군사들의 기강을 바로잡았고, ‘읍참마속’이라는 고사성어가 탄생했습니다. 이때 제갈량이 눈물을 흘리며 형을 집행했다고 하여 ‘울 읍(泣)’이 앞에 붙었습니다.


교훈과 현대적 의미

원칙과 공정함의 상징

읍참마속은 개인적 감정을 배제하고 조직과 법의 원칙을 지키는 것을 상징합니다. 지도자가 사적인 친분 때문에 규율을 무너뜨리면, 전체 조직의 신뢰와 질서가 무너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현대 사회에서의 활용

오늘날 ‘읍참마속’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쓰입니다.

  • 기업 경영에서 부정 행위를 저지른 임원이나 친인척을 과감히 해임하는 경우
  • 정치권에서 자신의 측근이 비리에 연루되었을 때 법에 따라 처벌하는 경우
  • 스포츠 단체나 학교에서 규율 위반자를 예외 없이 징계하는 경우

비슷한 표현

  • 법불아귀(法不阿貴): 법은 귀한 사람이라도 치우치지 않는다.
  • 대의멸친(大義滅親): 큰 의리를 위해 친척이라도 멸한다.
  • 철면피(鐵面皮): 사사로운 정에 흔들리지 않는 단호함을 비유.

결론

역사판타지 웹소설 아! 내가 마속이다. ㅋㅋㅋ

읍참마속은 삼국시대 촉나라의 제갈량이 보여준 엄정한 법 집행에서 비롯된 고사성어입니다. 이 말은 감정과 원칙이 충돌할 때, 조직과 대의를 위해 사적인 정을 끊어내는 결단을 강조하며, 오늘날에도 지도자의 자질과 공정성을 평가하는 잣대로 자주 쓰입니다.


반응형

'어휘 단어 뜻'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8배 참회문  (0) 2025.08.10
루틴 뜻 용법  (0) 2025.08.09
빙부상, 빙모상 뜻  (0) 2025.08.07
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의 뜻, 어원  (0) 2025.08.06
꼰대 어원, 뜻  (0) 2025.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