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고 용어2

향년 뜻, 별세 나이, 방년 차이 향년 뜻, 별세 나이, 방년 차이누군가의 부고 소식을 접할 때 우리는 일상적으로 “향년 ○세”, “방년 ○세”, “별세”와 같은 표현을 마주합니다. 신문 부고란, 장례 안내, 추도사, 심지어는 드라마 대사 속에서도 이 단어들은 빠짐없이 등장하곤 하지요. 그러나 막상 그 뜻을 물어보면 많은 분들이 정확히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향년’과 ‘방년’은 모두 나이를 가리키지만 상황과 뉘앙스에서 차이가 크며, ‘별세’라는 단어는 단순히 죽음을 뜻하는 표현을 넘어 존경과 애도의 의미를 함께 담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향년의 정의와 쓰임새, 별세의 의미와 유사 표현, 그리고 방년이라는 표현의 특징과 향년과의 차이를 차근차근 살펴보고, 더 나아가 한국 사회에서 이러한 표현들이 어떤 문화적 의미를 가지는지까.. 2025. 9. 6.
빙부상 뜻, 친구 빙모상 조의금 액수, 부조금 기준 빙모상, 빙부상 뜻, 친구 빙모상, 빙부상 조의금 액수, 부조금 기준빙모상, 빙부상은 남자 입장에서, 아내의 부모상을 일컫습니다. 반대로 대응대는 개념으로는 시부상, 시모상이 있습니다. 시모상 시부상 조의금 액수 기준 역시 빙모상 빙부상에 맞추면 되겠습니다.빙모상·빙부상 뜻 장모·장인상과 무엇이 다른가? ‘빙모(聘母)’와 ‘빙부(聘父)’는 아내(혹은 사위 입장에서)의 어머니·아버지를 높여 부르는 한자어입니다. ‘빙(聘)’ 자는 ‘장가들다’라는 뜻으로, ‘장가들어 생긴 어머니·아버지’라는 뉘앙스를 지닙니다. 한국에서는 부고·조문 예식처럼 격식을 갖춰야 하는 공적 문맥에서 주로 쓰이며, 신문·방송의 부고 기사에서도 빠짐없이 등장합니다.빙모·빙부 표기 관습한자: 聘母(빙모) / 聘父(빙부)맞춤법: 띄어쓰기 없.. 2025. 7.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