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 무기 자동차

자동차 경고등 종류 계기판 알림 64가지

by sk2nd 2025. 9. 26.
반응형

자동차 경고등 종류 계기판 알림 64가지

운전 중 계기판에 갑자기 낯선 불빛이 켜지면 누구나 당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현대 자동차는 전자 장치가 복잡해지면서 경고등의 종류가 60개 이상으로 다양하게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운전자는 단순히 빨간색 불빛이 위험하다는 정도만 알고, 세부적인 의미까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동차 경고등 종류 64가지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경고등 종류 64가지를 하나하나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각각이 나타내는 의미와 운전자가 취해야 할 올바른 대처 방법까지 설명하겠습니다. 단순한 나열이 아니라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풀어드릴 테니, 안전 운전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10번: 조명 및 기본 주행 보조 장치

  1. 전면 안개등(Fog Light Front)

    앞 유리에 안개가 짙게 낀 상황에서 사용하는 등으로, 켜져 있다는 표시입니다. 주황색이나 녹색 불빛이 들어오며, 미사용 시 불필요하게 켜두면 맞은편 차량 운전자 시야를 방해할 수 있으니 필요할 때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파워 스티어링 경고등(Power Steering Warning Light)
    전동식 조향 장치(EPS)에 이상이 생겼을 때 켜집니다. 빨간색이라면 즉시 주행을 멈추고 견인을 고려해야 하며, 주황색이라면 속도를 줄이고 가까운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핸들이 무거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후면 안개등(Fog Light Rear)

    차량 뒷부분 안개등이 켜져 있다는 의미입니다. 비·눈이 심하게 오는 상황에서 후방 차량에게 존재감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찬가지로 맑은 날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4. 세정액 부족(Washer Fluid Low)
    앞유리 세정액이 부족하다는 표시입니다. 장거리 주행 전 반드시 세정액을 보충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5. 브레이크 패드 경고(Brake Pad Warning)
    브레이크 패드가 닳아 교체가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이 경고등을 무시하면 제동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사고 위험이 커집니다.
  6. 정속주행 켜짐(Cruise Control On)
    차량의 크루즈 컨트롤이 작동 중일 때 들어오는 표시입니다. 보통 녹색으로 점등되며, 경고라기보다 편의 알림에 가깝습니다.
  7. 방향지시기(Direction Indicators)
    좌우 깜빡이 작동을 알리는 기본적인 표시입니다. 빠른 점멸은 전구 이상을 뜻할 수 있습니다.
  8. 빗방울·빛 감지기(Rain and Light Sensor)
    자동 와이퍼, 자동 전조등 센서가 작동 중임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기능 활성화 안내 표시입니다.
  9. 동절기 모드(Winter Mode)
    미끄러운 눈길·빙판길 주행 시 변속 패턴을 조절하는 기능이 켜져 있을 때 점등됩니다.
  10. 정보표시장치(Information Indicator)
    차량의 전반적인 시스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아이콘입니다. 보통 주황색이며, 구체적인 메시지는 계기판 LCD에 표시됩니다.

11~20번: 점화·엔진 관련

  1. 예열 플러그 경고(Glow Plug Warning)
    디젤 차량에서 시동 전 엔진 예열이 필요할 때 켜집니다. 불이 꺼진 후 시동을 거는 것이 원칙입니다.
  2. 서리 주의(Frost Warning)
    외부 온도가 0~4℃ 정도로 낮아 도로가 결빙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립니다. 눈길 운전 시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3. 점화 스위치 경고(Ignition Switch Warning)
    스마트키를 꽂지 않거나 점화 장치에 문제가 생겼을 때 나타납니다.
  4. 차내 열쇠 없음(Key Not in Vehicle)
    스마트키를 차량 내부에 두지 않은 상태에서 시동을 걸려고 할 때 켜집니다.
  5. 전자 열쇠 배터리 부족(Key Fob Battery Low)
    스마트키 배터리 잔량이 부족할 때 표시됩니다. 즉시 교체하지 않으면 문이 열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6. 차간 거리 경보(Distance Warning)
    앞차와의 거리가 위험할 정도로 가까울 때 점등됩니다. 전방 충돌 방지 보조 기능과 연동됩니다.
  7. 클러치 밟기(Press Clutch Pedal)
    수동 변속기 차량에서 시동을 걸 때 클러치를 밟으라는 알림입니다.
  8. 브레이크 밟기(Press Brake Pedal)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 시동 시 브레이크 페달을 반드시 밟아야 하는 경우 켜집니다.
  9. 스티어링 잠금( Steering Lock Warning)
    핸들이 잠금 상태일 때 표시됩니다. 강제로 돌리면 고장이 날 수 있습니다.
  10. 상향 전조등(Main Beam Headlights)

    하이빔이 켜져 있다는 표시로, 파란색 불빛입니다. 마주 오는 차량이 있을 때는 반드시 꺼야 합니다.

21~40번: 타이어·조명·브레이크·에어백

  1. 타이어 공기압 부족(Tyre Pressure Low)
    TPMS 센서가 공기압 저하를 감지하면 켜집니다. 즉시 타이어 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2. 차폭등 정보(Sidelight Information)
    차폭등이 켜져 있다는 알림입니다. 보통 녹색 표시입니다.
  3. 외부등 결함(Exterior Light Fault)
    헤드라이트, 미등, 후미등 중 하나가 고장 났을 때 나타납니다.
  4. 브레이크등 경고(Brake Light Warning)
    브레이크등 전구가 나갔을 경우 표시됩니다.
  5. 디젤 배기가스 후처리 경고(Diesel Particulate Filter Warning)
    DPF에 매연이 쌓였다는 알림입니다. 장시간 고속 주행으로 태워내야 하며, 방치하면 고가의 수리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6. 트레일러 견인 장치 경고(Trailer Tow Hitch Warning)
    견인 장치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7. 공기현가장치 경보(Air Suspension Warning)
    에어 서스펜션에 이상이 있을 때 켜집니다.
  8. 차선이탈 경고(Lane Departure Warning)
    주행 중 차선을 이탈할 경우 점등됩니다.
  9. 촉매 변환장치 경고(Catalytic Converter Warning)
    촉매 장치 고장 시 발생하며, 배출가스가 정상적으로 정화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10. 안전벨트 미착용(Seat Belt Warning)

    안전벨트를 매지 않았을 때 켜지는 기본 경고등입니다.
  11. 주차 브레이크 등(Parking Brake Light)

    사이드 브레이크를 내리지 않고 출발하면 빨간 불이 들어옵니다.
  12. 배터리·교류발전기 경고(Battery/Alternator Warning)

    충전 불량이나 배터리 고장 시 발생합니다.
  13. 주차 보조 장치(Parking Assist Warning)
    주차 센서나 후방 카메라 이상 시 점등됩니다.
  14. 오일 교환·서비스 요망(Service Required)
    차량 정기 점검 또는 오일 교환 주기가 도래했을 때 표시됩니다.
  15. 자동 전조등(Adaptive Lighting)
    전조등 각도가 주행 조건에 따라 자동 조절되는 기능이 활성화됐음을 의미합니다.
  16. 전조등 범위 조정(Headlight Range Control)
    라이트 각도 조정 장치의 이상을 나타냅니다.
  17. 후방 스포일러 경고(Rear Spoiler Warning)
    스포일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켜집니다.
  18. 컨버터블 루프 경고(Convertible Roof Warning)
    차 지붕 개폐 장치 이상 시 표시됩니다.
  19. 에어백 경고(Airbag Warning)
    에어백 시스템 전체에 문제가 있을 때 켜집니다. 반드시 정비가 필요합니다.
  20. 수동식 브레이크 경고(Hand Brake Warning)
    사이드 브레이크가 당겨져 있을 때 들어오는 표시입니다.

01234567891011121314


41~64번: 연료·유압·기타 경고

  1. 연료 여과기 물 있음(Water in Fuel Filter)
    디젤 차량 연료필터에 물이 섞였을 때 표시됩니다.
  2. 에어백 작동 정지(Airbag Deactivated)
    조수석 에어백을 꺼둔 경우 켜집니다.
  3. 결함 문제(Fault Problem)
    차량 전자 시스템의 일반적인 오류를 뜻합니다.
  4. 전조등 하향등(Dipped Beam)
    로우빔 점등 표시입니다.
  5. 공기 여과기 오염(Dirty Air Filter)
    엔진 공기 필터가 막혔음을 의미합니다.
  6. 경제운전 지시기(ECO Driving Indicator)
    연비 주행을 유도하는 표시로, 주황색 또는 녹색으로 나타납니다.
  7. 내리막길 주행 제어(Hill Descent Control)
    내리막길에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이 작동 중일 때 점등됩니다.
  8. 온도 주의(Temperature Warning)

    냉각수가 과열되었거나 엔진 온도가 비정상일 때 나타납니다.
  9. ABS 경고(ABS Warning)

    제동 보조 장치에 이상이 생겼음을 의미합니다.
  10. 연료 필터 경고(Fuel Filter Warning)
    연료 필터가 막혔거나 이상이 있을 때 표시됩니다.
  11. 문 열림(Door Open)
    차 문이 닫히지 않았을 때 빨간 불이 들어옵니다.
  12. 보닛 열림(Bonnet Open)
    엔진룸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표시됩니다.
  13. 연료 부족(Low Fuel)

    연료가 일정 수준 이하일 때 표시됩니다. 보통 잔여 주행 가능 거리 50km 내외입니다.
  14. 자동 기어박스 경고(Automatic Gearbox Warning)
    변속기 내부에 문제가 생겼을 때 나타납니다.
  15. 속도 제한기(Speed Limiter)
    속도 제한 장치가 작동 중임을 알립니다.
  16. 현가장치 조절기(Suspension Dampers)
    댐퍼 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때 표시됩니다.
  17. 유압 부족(Oil Pressure Low)

    엔진 오일 압력이 부족할 때 점등됩니다. 가장 치명적인 경고등 중 하나입니다.
  18. 앞 유리 성에 제거(Windscreen Defrost)
    앞 유리 히터가 작동 중일 때 나타납니다.
  19. 트렁크 열림(Boot Open)
    트렁크가 닫히지 않았음을 알리는 표시입니다.
  20. 안정 제어장치 꺼짐(Stability Control Off)

    ESP 또는 VDC 기능이 꺼진 상태일 때 나타납니다.
  21. 빗방울 감지기(Rain Sensor)
    와이퍼 자동 감지 기능 활성화 알림입니다.
  22. 엔진/배출 경고(Engine/Emissions Warning)

    흔히 ‘체크 엔진’으로 알려진 표시입니다. 엔진 또는 배출가스 관련 문제를 의미합니다.
  23. 뒷 유리 성에 제거(Rear Window Defrost)
    후방 유리 히터 작동 중임을 알립니다.
  24. 자동 와이퍼(Auto Windscreen Wiping)
    자동 와이퍼 기능이 켜졌음을 표시합니다.

결론

012345678910111213

자동차 경고등은 단순한 알림이 아니라, 차량이 보내는 위험 신호입니다. 빨간색은 즉시 정차 및 점검, 주황색은 조속한 정비 필요, 녹색·파란색은 기능 작동 알림으로 구분해두면 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012345678910111213

위에서 소개한 64가지 경고등을 정확히 숙지한다면 갑작스럽게 불이 켜져도 당황하지 않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0123456789101112
01234567891011
012345678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