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 무기 자동차

대한민국 해군 함정 종류, 잠수함 이지스함 한국 군함 보유 대수

by zn3476 2025. 9. 23.
반응형

대한민국 해군 군함 종류 완전 정리: 이지스함, 구축함, 호위함, 초계함, 상륙함까지

대한민국 해군은 국방력의 핵심 축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군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해양 안보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대형 이지스 구축함부터 중소형 초계함, 상륙작전을 지원하는 수송함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와 역할이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해군 함정 종류, 군함 보유 대수

이번 글에서는 정조대왕함, 세종대왕함, 충무공이순신함, 독도함 등 이름을 들어본 주요 군함들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해군이 보유하고 있는 군함의 종류와 함명 체계, 세부 제원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대한민국 군함의 분류 기준: ‘함(艦)’과 ‘정(艇)’

대한민국 해군에서 군함은 배수량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한국 해군 군함 종류

  • 함(艦, Ship): 만재배수량 500톤 이상인 대형 군함 (구축함, 호위함, 상륙함 등 포함)
  • 정(艇, Boat): 만재배수량 500톤 미만의 소형 군함 (고속정, 미사일정 등)

또한, 각 군함은 ‘함급(클래스)’과 ‘함명(이름)’이 따로 지정됩니다. 예를 들어, 세종대왕급 구축함(함급)의 1번함은 세종대왕함, 2번함은 율곡이이함입니다.

대한민국 해군 전투함 함정 종류 참수리 고속정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 기뢰부설함, 소해함, 기뢰탐색함, 잠수함 구조함 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신채호함 홍범도함, 안중근함 윤..

이지스함 정조대왕함 세종대왕함, 율곡이이함, 서애 류성룡함, 충무공이순신함, 문무대왕함, 광개토대왕함 - 한국 해군 군함 종류 구축함 호위함 초계함 상륙함 독도함, 마라도함


이지스함 (Aegis Destroyer)

이지스함은 고성능 다기능 레이더를 탑재한 해상 전투의 핵심 플랫폼입니다. 미 해군의 이지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대공, 대함, 대잠 능력을 고루 갖춘 다목적 전투함입니다. 대한민국 이지스함 보유대수는 총 4척을 운용중입니다. 2025년 11월에 다산정약용함이 진수되면 총 5척을 보유하게 됩니다.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 (DDG-II)

DDG-991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 (DDG-II)

  • DDG-991 세종대왕함 (1번함)
  • DDG-992 율곡이이함 (2번함)
  • DDG-993 서애 류성룡함 (3번함)

차세대 이지스함 1호 정조대왕함  해군의 첫 8200t급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인 정조대왕함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 (정조대왕급, KDX-III Batch-II)

  • DDG-995 정조대왕함 (1번함, 2023년 진수)
  • 향후 3척 이상 추가 건조 예정

특징:

  • 만재배수량 약 8,200톤
  • SPY-1D(V) 레이더 탑재
  • SM-2, SM-6, 함대지 미사일, 토마호크 유사 미사일 운용 예정

구축함 (Destroyer)

KDX-I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구축함 DDH-971 광개토대왕함

  • DDH-971 광개토대왕함
  • DDH-972 을지문덕함
  • DDH-973 양만춘함

구축함 DDH-972 을지문덕함

특징:

  • 배수량 약 3,800톤
  •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 구축함
  • 대공·대함·대잠 통합 무장

KDX-II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구축함 DDH-973 양만춘함 충무공 이순신급 DDH-II (4 400t)

  • DDH-975 충무공이순신함
  • DDH-976 문무대왕함
  • DDH-977 대조영함
  • DDH-978 왕건함
  • DDH-979 강감찬함
  • DDH-981 최영함

DDH-975 충무공이순신함(좌) 구축함 DDH-972 을지문덕함(우)
DDH-976 문무대왕함
DDH-977 대조영함  DDH-977 ROKS Dae Jo-yeong Destroyer DDH Korean Navy ROKN

특징:

  • 배수량 약 4,400톤
  • 국산화 비율 상승
  • 탄도탄 요격 기능은 없음

호위함 (Frigate, FFG)

호위함은 구축함보다 소형이지만 대잠, 대공, 대함 전투 능력을 고루 갖춘 중형 전투함입니다.

인천급 Batch-I

FFG-811 대구함, FFG-823 대구급 호위함 포항함
FFG-811 인천함  FFG-816 인천급 호위함 충북함

  • FFG-811 인천함
  • FFG-812 경기함
  • FFG-813 전북함
  • FFG-815 강원함
  • FFG-816 충북함
  • FFG-817 광주함

배수량: 약 2,300톤

대구급 Batch-II

  • FFG-818 대구함
  • FFG-819 경남함
  • FFG-821 서울함
  • FFG-822 동해함
  • FFG-823 대전함

배수량: 약 3,600톤
특징: 전기추진 시스템 탑재, 탄도탄 방어능력 일부 부여


초계함 (Patrol Combat Corvette, PCC)

초계함은 해역의 감시와 소규모 해전, 밀수·침투 차단 임무를 수행합니다. 주로 도서 방어와 연안 경비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포항급 초계함 (퇴역 중)

  • PCC-756 전남함
  • PCC-757 제주함
  • PCC-758 청주함
  • PCC-759 부산함

운용 중인 초계함

최신형 천안함으로 돌아옴

  • PCC-772 천안함, 원주함 외 약 10척

배수량: 1,000~1,200톤
무장: 76mm 주포, 40mm 부포, 어뢰, 대함미사일 등


상륙함 (Amphibious Ships)

해병대 병력 및 장비의 해상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전투함입니다.

대형수송함 (LPH, Landing Platform Helicopter)

LPH 611 독도함,  LPH 612 마라도함

  • LPH-6111 독도함
  • LPH-6112 마라도함

배수량: 14,000톤
전장: 199m
특징: 수직이착륙 헬기 및 상륙주정 탑재, 경항모 전환 논의 중

상륙함 (LST, Landing Ship Tank)

  • LST-681 고준봉함
  • LST-682 비로봉함
  • LST-683 향로봉함
  • LST-685 성인봉함

배수량: 4,200톤
특징: 상륙작전 및 군수지원용, 해병대 장비 수송에 최적화


과거 주요 상륙함 (퇴역)

  • 위봉함, 수영함, 개봉함, 북한함: 미 해군 퇴역 함정을 도입하여 사용

잠수함(Submarine, SS) – 대한민국 해군의 은밀한 해상 전략 자산

잠수함은 해군 전력 중에서도 가장 은밀하고 전략적인 전력을 담당하는 전투 플랫폼입니다. 한국 잠수함 보유대수는 2023년 기준으로 21척이 운용중이며, 추가로 도산안창호급이 6척 더 진수될 예정입니다. 바다 밑을 잠항하며 상대의 레이더에 잡히지 않고 정찰, 감시, 타격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유사시 적의 항공모함 전단이나 전략 자산을 선제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해군의 잠수함은 '함(艦)'으로 분류되며, ‘장보고급’, ‘손원일급’, 그리고 최신 ‘장보고-III 배치-I’으로 나뉩니다.


장보고급 잠수함 (KSS-I)

  • SS-061 장보고함
  • SS-062 이천함
  • SS-063 나대용함
  • SS-065 이을진함
  • SS-066 정지함
  • SS-067 이사부함
  • SS-068 안중근함
  • SS-069 윤봉길함
  • SS-071 신돌석함

제원:

  • 배수량: 수중 약 1,200톤
  • 길이: 약 56m
  • 최대 잠항 속도: 22노트
  • 어뢰 및 기뢰 운용 가능

특징:

  • 독일의 209형을 도입한 초창기 한국형 잠수함
  • 국산화율은 낮지만 한국 해군 잠수함 운용의 초석이 됨
  • 일부는 성능개량(MLU) 후 계속 운용 중

손원일급 잠수함 (KSS-II)

  • SS-072 손원일함
  • SS-073 정지함
  • SS-074 안중근함
  • SS-075 윤봉길함
  • SS-076 김좌진함
  • SS-077 홍범도함
  • SS-078 신돌석함
  • SS-079 김창숙함
  • SS-080 최무선함

제원:

  • 배수량: 수중 약 1,800톤
  • 길이: 약 65m
  • AIP(공기불요추진) 장비 탑재
  • 533mm 어뢰 및 하푼 미사일 장착 가능

특징:

  • 독일 214형을 기반으로 국산화율 높임
  • 공기불요추진(AIP)을 통한 장시간 잠항 가능
  • 탐지·추적·사격제어 시스템 대부분 국산화

장보고-III 배치-I (도산안창호급, KSS-III)

  • SS-083 도산안창호함 (1번함, 2021년 취역)
  • SS-084 안무함 (2번함, 2023년 진수)
  • SS-085 신채호함 (3번함 예정)

제원:

  • 배수량: 수중 약 3,600톤
  • 길이: 약 83.5m
  • 국산 AIP 및 수직발사관(VLS) 탑재
  • SLBM(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발사 가능

특징:

  • 대한민국이 독자 설계 및 건조한 첫 전략잠수함
  • 최대 10기의 VLS 장착 가능
  • SLBM, 순항미사일 등 정밀 타격 능력 확보
  • 완전한 전략 잠수함 체계로 진입한 첫 사례

잠수함 함명 부여 기준

잠수함의 함명은 주로 위인, 독립운동가, 충신 등 역사적으로 나라를 위해 헌신한 인물들의 이름이 부여됩니다. 예:

  • 도산 안창호함 →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 손원일함 → 대한민국 해군 창설자 손원일 제독
  • 신채호함 → 독립운동가이자 사학자

이러한 함명 체계는 전투함이 단순한 병기 그 이상으로, 국가 정신을 담는 상징물임을 의미합니다.


대한민국 해군의 잠수함 전력 발전 방향

대한민국은 KSS-III 배치-II 및 배치-III 사업을 통해 6척 이상의 전략급 잠수함을 도입할 계획이며, 궁극적으로는 원자력 추진 잠수함 확보를 위한 기술적, 제도적 준비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력 확충은 북한의 SLBM 위협, 일본·중국 해군력 증강에 대응하기 위한 장기적 방어 전략의 일환입니다.

잠수함은 해상 전투에서 은밀성, 기습성, 지속 작전 능력이라는 독보적인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해군은 장보고급에서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으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전력 발전을 통해 대양 해군, 전략 해군으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 중입니다. 향후 KSS-III 배치-II가 완성되면, 한국 해군은 아시아에서 손꼽히는 잠수함 전력을 보유한 국가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유도탄 고속함 및 고속정 – 연안 기동전력의 최전선

대한민국 해군의 기동성과 기습력을 상징하는 전력이 바로 **유도탄 고속함(PKG)**과 **고속정(PKM)**입니다. 이들 전력은 대형 전투함들과 달리 민첩성, 기동성, 화력 집중력을 통해 연안 해역에서의 감시, 차단, 교전 임무를 수행합니다. 특히 북한의 불규칙한 해상 도발에 대응하거나, 좁은 해역에서의 전투에 최적화된 전략 자산입니다.


유도탄 고속함 (PKG: Patrol Killer Guided Missile)

유도탄 고속함은 대함 유도탄을 탑재한 고속 기동 전투함으로, 기존 고속정 대비 향상된 생존성과 화력을 자랑합니다. 정식 명칭은 PKG(Patrol Killer Guided missile)이며, 해군 함정 체계상 중형급 전투정으로 분류됩니다.

윤영하급 유도탄 고속함 (PKG-I)

  • PKG-711 윤영하함
  • PKG-712 조천형함
  • PKG-713 한상국함
  • PKG-714 황도현함
  • PKG-715 정종율함
  • PKG-716 서용석함
  • PKG-717 김진구함 외 약 18척 건조됨

제원:

  • 배수량: 약 570톤
  • 최대 속력: 40노트 이상
  • 무장:
    • 대함유도탄 4기 (해성 미사일)
    • 76mm 주포 1문
    • 40mm 근접방어화기, 대공기관포
  • 주요 임무: 연안 감시, 북한 경비정·공기부양정 요격

특징:

  • 2002년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고(故) 윤영하 소령을 기리기 위해 함명 제정
  • 스텔스 성능 적용 (함체 형상 설계에 레이더 반사면적 감소)
PKG-II (차기 유도탄 고속함, 미공개 함명 일부)

  • 기존 윤영하급의 단점(소형 함체, 적재량 제한)을 보완한 개량형
  • 배수량 약 700톤
  • 자동화 시스템 강화
  • 하이브리드 추진 체계 채택 (고속/저속 이중 모드)
  • 일부 함정은 동해함, 속초함 등의 이름을 재사용 중

고속정 (PKM: Patrol Killer Medium)

고속정은 대한민국 해군의 해안경비 및 국지도발 대응의 핵심 전력입니다. 대개 200~400톤급으로 북한 경비정, 반잠수정, 공기부양정에 대한 즉각 대응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참수리급 고속정 (PKM, 211~288번)

  • PKM-211 ~ PKM-288번까지 70여 척
  • 제1·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 사건 등 실제 교전 다수
  • 순차적으로 퇴역 중이며, PKG 시리즈로 대체되고 있음

제원:

  • 배수량: 약 170~200톤
  • 최대 속도: 38노트
  • 무장:
    • 76mm 주포 (일부 40mm)
    • 12.7mm 기관총
    • 대함 미사일 일부 탑재

특징:

  • 빠른 속도와 작은 함체로 좁은 해역에 최적화
  • 승조원 30명 내외
  • 최근에는 자동화 무장 체계 및 감시장비 개선형으로 개조된 함정도 존재

함명 부여 기준

  • PKG(유도탄 고속함): 전사한 해군 전우, 호국영웅의 이름을 부여
    • 예: 윤영하함, 조천형함 (제2연평해전 전사자)
  • PKM(고속정): 대부분 번호 부여 + 지역명 일부 재사용 (동해, 포항 등)

향후 전망 및 개발 방향

해군은 참수리급의 노후화에 따라 PKX-B(차기 고속정) 시리즈를 개발·배치 중이며, 스텔스 기능 강화와 함께 소형화된 유도무기를 탑재한 ‘전술형 소형 수상전투함’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북한 해역의 연안 밀집 전력에 대한 대응 전략의 핵심 자산으로 운용될 예정입니다.

유도탄 고속함과 고속정은 대한민국 해군 전력 중 작지만 강력한 전력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한반도의 서해·동해 연안을 실질적으로 지키는 1차 방어선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대형 전투함과 함께 다층 해상방어 체계를 구성하며, 대한민국 해군의 전력 구성을 입체적으로 만들어 주는 핵심 전력군입니다.

수상구조함, 잠수함 구조함, 기뢰함, 소해함 – 특수 임무 전담 해군 함정 소개

대한민국 해군은 단순히 전투 임무만 수행하는 것이 아닙니다. 수색과 구조, 기뢰 제거, 해양 안전 확보 등 비전투 특수 임무를 수행하는 다양한 함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함정은 위기 상황에서 가장 먼저 출동하는 전력입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수상구조함, 잠수함 구조함, 기뢰함, 소해함 등 특수목적함을 종류별로 정리합니다.


수상구조함 (ARS: Auxiliary Rescue and Salvage Ship)

수상구조함은 해상에서 조난한 함정 및 인원을 구조하거나, 침몰한 선박의 인양 작업을 수행하는 전담함입니다. 또한 수중작업, 예인작업, 심해 구조 임무도 수행할 수 있어 해군 작전의 ‘보험’ 같은 존재입니다.

통영급 수상구조함 (ARS-II)

 '통영함'과 '광양함 '

  • ARS-20 통영함
  • ARS-21 광양함

제원:

  • 배수량: 약 3,500톤
  • 전장: 약 107m
  • 최대속력: 20노트
  • 장비:
    • 무인잠수정(ROV), 심해잠수장비, 크레인, 감압챔버, 무인선박
    • 대형 헬리패드 탑재 (대형 헬기 이착륙 가능)

특징:

  • 2014년 세월호 사건 당시 수중 구조 장비 부족이 지적되면서 실질적인 대응력을 보강하기 위해 배치됨
  • 민·군 해양재난 공조체계에서도 핵심 역할

잠수함 구조함 (ASR: Submarine Rescue Ship)

잠수함 구조함은 조난당한 잠수함의 승조원을 구조하거나, 잠수함 관련 심해작전을 수행하는 특수함정입니다. 구조심도는 일반 잠수보다 훨씬 깊은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청해진함 (ASR-21)

  • 대한민국 해군 최초이자 유일한 잠수함 구조 전용함
  • 1996년 배치

제원:

  • 배수량: 약 4,300톤
  • 전장: 약 102m
  • 최대속력: 20노트
  • 구조장비:
    • DSRV(심해잠수 구조정) 탑재
    • 감압챔버, 잠수장비, ROV
    • 심해 구조 가능 깊이: 약 500m 이상

특징:

  • 잠수함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현장에 투입되어 생존 승조원 구조 임무 수행
  • 통신두절, 손상 등 사고 발생 시 DSRV를 통해 수직 구조 가능

기뢰함 (MLS: Mine Layer Ship)

기뢰함은 해역 봉쇄용 수중무기인 '기뢰'를 설치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기뢰는 전시나 유사시에 적 함정의 접근을 차단하거나 통로를 제한하는 데 매우 유효한 수단입니다.

원산함 (MLS-560)

기뢰부설함(MLS)

  • 대한민국 해군 유일의 기뢰 전용 설치함

제원:

  • 배수량: 약 3,000톤
  • 전장: 약 114m
  • 무장:
    • 40mm 기관포
    • 기뢰 투하 레일 및 자동 장전 시스템
  • 최대 적재 기뢰 수: 약 500기

특징:

  • 전시에 대비한 전략 기뢰 매설 전담
  • 주요 해협, 연안 봉쇄 임무 수행
  • 기뢰 투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첨단 항법 시스템 장착

소해함 및 소해정 (Minesweeper, MSH/MSL/MSC)

소해함은 이미 설치된 기뢰를 탐지, 제거 또는 우회 경로 확보를 위한 특수 작전함입니다. 해상작전 이전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전력입니다.

강경급 기뢰탐색함

고흥급 소해함 (MSH: Mine Sweeper Hunter)
  • MSH-561 고흥함
  • MSH-562 남해함
  • MSH-563 옹진함

양양급 소해함

제원:

  • 배수량: 약 1,000톤
  • 전장: 약 60m
  • 탐지장비:
    • 기뢰 탐색용 소나(Sonar)
    • 기뢰 제거 로봇(MNV)
  • 함체 소재: 비자기성 섬유복합소재 (기뢰에 반응 방지)
소해정 (MSC/MSL)
  • MSC: 함정형 소해정, MSL: 연안/기본형 소해정
  • 구형 LCU급 함정 개조
  • 작고 기민하며 좁은 해역에서 기뢰 제거 가능

정리하면

종류 대표함명 주요 임무
수상구조함 (ARS) 통영함, 광양함 해상 구조, 침몰선 인양
잠수함 구조함 (ASR) 청해진함 잠수함 사고 구조
기뢰함 (MLS) 원산함 기뢰 설치
소해함 (MSH) 고흥함, 남해함, 옹진함 기뢰 탐색 및 제거

이러한 특수함정들은 비상시 해상작전의 성공률을 높이고, 해군 작전 전반의 지속 가능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기뢰전과 수중구조 능력은 전장뿐 아니라 재난 대응에서도 핵심적인 국가 전략 자산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함명 제정 기준 요약

  • 이지스함, 구축함: 왕, 충신, 위인 (세종대왕, 정조대왕, 충무공이순신 등)
  • 호위함, 초계함: 지역명 (광역시, 도청소재지, 시 단위)
  • 상륙함 (LST): 고지 명칭 (봉우리, 산 이름)
  • 대형수송함 (LPH): 섬 이름 (독도, 마라도)
  • 고속정, 미사일정: 조류·동물명 등 민첩성을 상징하는 이름

결론

대한민국 해군은 꾸준한 전력 증강과 첨단화 과정을 통해 이지스 구축함부터 고속정까지 다층 방어와 공격능력을 갖춘 해상전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 함급마다 역사적 인물, 지역명, 지형지물 등 상징적 의미를 담아낸 함명 부여 체계는 국민과 해군의 정서적 연결고리를 형성하며 해군의 정체성과 전통을 견고히 다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조대왕함을 시작으로 하는 차세대 이지스함 시리즈, 경항모급 대형수송함 등의 신규 전력이 차례로 취역하게 되면, 대한민국 해군은 명실상부한 대양해군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